2002년 노무현 '행정수도'반대 "첨단과학 특구 만들겠다" 유세
"득표 정략, 충청 속이지말라"더니 정반대…왜? 정치권 갸우뚱
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는 28일 세종시 원안사수를 주장하며 "미래를 내다볼 줄 모르는 정권이 세종시 수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전날 이명박 대통령이 "지금 생각하면 부끄럽기도 하고 후회스럽기도 하다"며 대선과정에서 세종시 수정을 분명히 하지 않았던 점을 사과한 뒤, 부처이전보다 교육과학중심의 자족도시 구상을 시사한 데 대한 반발이다.
이 총재는 충북 청주를 찾아 "필요하면 얼마든지 거짓말을 뒤집는 것이 바로 이 정부의 정책"이라며 "만일 우리 뜻대로 되지 않고 세종시 원안이 폐기되는 상황이 온다면 우리 스스로가 국회의원직을 내놓는 모습을 보이자는 결의를 했다"고 밝혔다. 그는 '세종시 원안사수 홍보투어'를 진행하고 있다.
이같은 이 총재의 주장은 2002년 대선 당시 민주당 노무현 후보의 '행정수도 이전' 공약에 극렬 반대하던 것과는 정반대의 모습이라는 지적이 정치권에서 나온다. 7년전 자신이 '졸속 공약'이라고 비난했던 내용을 이제는 "사수하라"며 연일 주장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표를 얻기 위한 정략" "즉흥적이고 무책임한 생각" "불안한 후보의 위험한 정책" "충동적, 즉흥적, 정략적 사고로 한 국가를 경영할수 없다". 과거 이 총재가 행정수도 이전 공약을 겨냥해 쏟아냈던 말이다.
"경제가 어떻게 되겠습니까. 일종의 공동화 현상이 생깁니다." 지난 2002년 12월 대선을 앞두고 진행된 방송토론에서 이 총재(당시 한나라당 대선후보)가 노 후보의 '행정수도 이전'에 반박한 내용이다. 이 총재는 더 나아가 "민주당은 충청도 곳곳을 다니며 가는 곳마다 수도이전의 대상지인 것처럼 충청인을 현혹시키고 있으나 결국 지역간 갈등과 대립만 심화시킬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일본 도쿄(東京)의 경우 14년째 (행정수도를) 옮기는 문제를 논의하고 있는데 결국 옮기기 어렵다는 결론이 나고 있다"고 역설하기도 했다. 또 이 총재는 선진국 가운데 유일한 행정부 분할 사례로 꼽히는 독일의 빈과 베를린을 예로 들면서까지 반박했다. 독일은 통독후 행정부 분할에 따른 극심한 행정 비효율에 시달리다 최근 베를린으로의 재통합 움직임이 강력히 대두되고 있다.
당시 이 총재는 노 전 대통령의 '행정수도 이전'에 대해 "충청인을 다시 한 번 속이려는 무책임한 졸속 공약"이라고 못박았다. 이 총재는 대선 하루전 충남도청을 찾아 '행정수도 이전' 공약에 맞서 "대전.충남을 명실상부한 과학기술수도로 만들고, 대전이 중심돼 충남북을 잇는 대규모 첨단과학특구도 만들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 대통령의 '과학비즈니스벨트' 구상과 통하는 내용이었다.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