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위 제소 전 어떤 점이 해당행위인지 밝혀야"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처리를 놓고 당과 갈등을 빚은 민주당 소속 추미애 환경노동위원장은 당 징계방침이 불거지자 "이제와서 당내 정쟁의 희생물로 나를 끌고 간다면 국민과 함께 나의 소신과 원칙을 끝까지 지킬 수밖에 없다"고 반발했다.
추 위원장은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 자청하고 "(당이)윤리위 제소를 거론하기 이전에 어떤 점이 해당행위라는 것인지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추미애 징계방침설'이 나오며 당내에서 '해당행위'라는 비난이 쏟아지자, 추 위원장은 이에 발끈 "당 일각의 주장은 앞뒤가 맞지 않는 자가당착적 주장"이라며 불쾌한 심경을 내비쳤다.
추 위원장은 '당 지도부와 먼저 상의하지 않았다'는 주장에 "중재안을 마련한 이후에는 당 대표,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등 책임있는 분들과 상의했으나 답변을 들은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상임위 통과과정에서 야당의원들의 출입을 봉쇄했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문을 걸어 잠그고 출입도 봉쇄한 채 회의진행을 했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맞섰다. 또 "민주당 환노위원들은 끝장토론을 거부하고 자발적으로 퇴장하고 회의에 자발적으로 임하지 않았다"고 했다.
앞서 지난달 30일 환노위 회의장에서 민주당 의원들이 퇴장하고 민주노동당 이정희 의원이 회의진행을 저지하는 과정에서 노조법이 강행통과 됐었다.
추 위원장은 "노조법 같이 산업현장은 물론 사회 전반에 대해 파급력이 큰 법에 대해서는 대안으로 이해 관계자들을 설득시키는 것이 정당과 정치인의 책무"라며 "'추미애 중재안'을 관철해낸 것은 당에 대한 국민 신뢰를 높이는데 기여한 것"이라고 자평했다.
이어 추 위원장은 개정 노조법의 의의를 "13년간 유예한 법이 아무런 준비 없이 그대로 시행될 경우 초래될 대혼란을 막아야 했다"며 "노동조합을 자유롭게 설립할 수 있는 단결의 자유와 누구에게나 골고루 교섭의 기회를 준 교섭권의 평등한 보장이 가능해졌다"고 평했다.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