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0월 1일 금요일

21세기 흑사병? 치료제 없는 신종플루 발견

항바이러스제도 안들어...네덜란드 5살 환자 끝내 숨져

 

온종림기자

 

치료제를 포함해 모든 항바이러스제가 듣지 않는 '신종플루' 바이러스가 네덜란드에서 발견돼 해당 환자가 결국 숨졌다고 연합뉴스가 로이터통신을 인용해 30일 전했다.

치료제를 포함해 모든 항바이러스제가 듣지 않는 '신종플루' 바이러스가 네덜란드에서 발견됐다ⓒ자료사진
▲치료제를 포함해 모든 항바이러스제가 듣지 않는 '신종플루' 바이러스가 네덜란드에서 발견됐다ⓒ자료사진
로테르담 소재 에라스무스대학병원 소속 샤를 부셰 박사팀은 백혈병을 앓던 5살 어린이가 인플루엔자A [H1N1]에 감염돼 숨졌으며 이 환자에서 분리한 바이러스가 오셀타미비르(상품명: 타미플루) 등 3종의 항바이러스제에 모두 내성을 나타냈다고 29일(현지시간) 밝혔다.
의료진이 환자의 몸에서 분리한 바이러스를 분석한 결과 비상시에만 쓸 수 있도록 잠정 허가된 제3의 항바이러스제 '페라미비르'에도 내성을 나타냈다.
지금까지 타미플루에 내성을 나타내는 신종플루 바이러스는 여러 차례 보고됐지만 리렌자 내성은 매우 드물다.

그러나 이번 환자에서, 단기간에 기존 항바이러스제인 2종뿐 아니라 비상용 치료제에도 내성을 획득한 변종 신종플루가 발견된 것이다.
의료진은 이번 연구 결과가 면역이 억제된 환자의 경우 순식간에 내성 변종 바이러스가 생길 위험이 더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부셰 박사는 "보통 환자라면 면역체계가 내성 바이러스가 자라지 못하게 하지만 면역력이 억제된 경우 내성 바이러스가 자랄 위험이 커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부셰 박사는 이어 "바이러스 유전자 중 단 한 부분만 변해도 시판 중인 항바이러스제 2종에 내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게 문제"라며, 따라서 면역 억제라는 특수한 상황에 있는 환자들에게 기존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는 것은 변종 바이러스를 만들어낼 우려가 있다고 의료진은 주장했다.


 



P 뉴데일리님의 파란블로그에서 발행된 글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