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평균 소비지출 대비 7.35% 기록
최유경기자
초당과금제 등 통신비 인하 움직임에도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지난 2분기 통신비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16일 통계청의 2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물가 상승률을 감안한 실질 가격 기준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93만8000원이며 통신서비스 지출은 14만2542원으로 나타났다. 통신서비스비 비중은 7.35%로 집계됐다. 2003년 통계를 조사한 이후로 가장 높은 수치다.
통신서비스비가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2분기를 기준으로 2006년 6.84%에서 2007년 7.08%, 2008년 7.23%, 2009년 7.24%, 올해 7.35% 등을 기록했다.
통신서비스 지출의 증감률은 지난해 1분기 -2.8%에서 2분기 -0.8%, 3분기 -0.2% 등으로 감소폭을 줄이다 지난해 4분기에 1.9%를 기록하면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올해 들어 1분기 5.6%, 2분기 6.3% 등으로 높은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에 통신서비스 지출이 감소한 영향도 있으나 지난해 하반기 아이폰의 국내 출시를 계기로 스마트폰 가입이 빠르게 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통신업계에 따르면 KT와 SK텔레콤의 대표적인 스마트폰인 아이폰과 갤럭시S는 정액요금제로 가입해야 단말기 값이 할인되기 때문에 대부분 월 4만5000원 이상 요금제(부가가치세 별도)에 가입하고 있는 것도 통신비 부담을 가중시켰다는 분석이다.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press@newdaily.co.kr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