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7월 14일 수요일

“발견된 남침 땅굴 4개, 모두 가짜다”

이종창 신부 “장거리 땅굴 숨기려 의도적 노출”
위장 땅굴 주변엔 깊숙한 곳 노린 13개선 존재

 

온종림기자

 

“지난 1974년부터 1990년에 걸쳐 발견된 북한의 남침용 땅굴 4개는 모두 가짜다.”
‘남침땅굴을 찾는 사람들’의 탐사 기술고문인 이종창 신부의 말이다. 이 신부는 1975년 군 의뢰를 받아 강원도 철원에서 제2남침땅굴을 발견하는데 큰 기여를 한 주인공이다. 그 공로로 같은해 4월 25일 보국훈장 광복장을 수여받기도 했다. 이런 그가 “내 자신이 찾아낸 제2남침땅굴을 비롯해 지금까지 발견된 남침용 땅굴 4개는 모두 가짜라고 말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도라산 제3땅굴 ⓒ 자료사진

 

그럼 북한이 아닌 남한의 자작극이라는 것인가?
아니다. 북한의 위장 땅굴을 발견했을 뿐이라는 것이다.
이 신부는 “장거리 남침땅굴을 숨기기 위해 일부러 단거리 남침땅굴을 북한이 의도적으로 노출시켰다”고 말한다. 결국 북한의 위장전술에 남한이 속아 넘어간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 신부는 35년째 남침땅굴을 추적하고 있다. 지난달에도 서울 중심부에 땅굴 징후를 발견했다고 알려온 바 있다.

이 신부는 북한의 남침땅굴은 17개 루트가 있다고 추정했다. 이중 4호선는 북한 지역인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장풍 망해산에서 의정부로 향하고 있다. 이 신부는 1974년 11월 15일 발견된 제1땅굴의 경우 이 4호선 땅굴을 감추기 위해 일부러 짧고 얕게 팠다고 지적했다. 의정부까지 39.5㎞에 이르는 노선을 숨기기 위해 판 위장땅굴이라는 주장이다.

이 신부가 1975년 3월 19일 직접 발견한 철원 땅굴 역시 ‘위장’이라고 이 신부는 말했다. 설계부터 가짜땅굴이라는 주장이다. 땅굴 8호선(철원 중세리~연천 전곡)과 10호선(김화 오성산~고석정,동송)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이 이 신부의 말이다. 이 신부는 “일부러 얕게 땅굴을 파면서 화강암 산 밑에서 폭파소리를 낸 것은 8,10호선을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한 것”이라고 판단했다.

1974년 9월 귀순자에 의해 존재를 알게 된 도라산 제3땅굴의 경우 2년 뒤인 1978년 10월 17일 발견됐다. 깊이 73m 침투길이 435m였다. 유영송 당시 육군 탐지과장(대령) 등이 6년 가까이 찾아내려고 애를 쓴 이 땅굴이 갑자기 지하에서 폭파 소리가 나면서 시추한 곳에서 물이 튀어나와 찾게 됐다“고 밝혔다. 이 신부는 ”짧은 굴을 파고 있다고 알리기 위해 일부러 지하에서 폭파시켜 들키게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1990년 3월 3일 드러난 양구 제4땅굴은 깊이 145m 침투길이 1028m. 이 신부는 “제4땅굴의 경우 1000m에 3m씩 기울기로 진행하면 양구군 해안면의 논과 들이 나온다”며 “인제를 목표로 하는 좌우의 17호선을 보호하기 위한 위장 땅굴”이라고 주장했다.

이 신부는 13일 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이 땅에 비극이 없도록 널리 알려달라”고 말했다. 또 “제 인격과 양심을 걸고 호소한다”고 덧붙였다.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press@newdaily.co.kr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P 뉴데일리님의 파란블로그에서 발행된 글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