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반가량인 42.6% 흡연 “8150원으로 올라야”
최유경기자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절반가량이 흡연자로 조사된 가운데 이는 세계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올 상반기 흡연실태를 조사한 결과 남성 흡연율이 42.6%로 지난해 12월말보다 0.5% 감소했다고 7일 밝혔다. OECD 국가 평균치인 28.4%(2007년)와는 큰 차이를 보였다.
남성 흡연율은 2008년 6월말 40.4%를 최저점으로 2008년 12월 40.9%, 지난해 6월 41.1%, 지난해 말 43.1% 등으로 3년째 40%대에 머물고 있는 상황이다.
흡연자들이 처음 담배를 핀 때는 평균 21.2세였고 규칙적으로 흡연을 시작한 때는 22.1세였다. 담배를 처음 피운지 1년 이내에 곧 습관성 흡연으로 변하게 된 것이다.
또 29세 이하 응답자의 최초 흡연연령은 평균 18.1세인데 남성이 18.3세, 여성이 16.5세로 여성의 최초 흡연 연령이 남성보다 더 빨랐다.
이들 흡연자가 담배를 피는 이유로 '스트레스'를 꼽은 비율은 32.6%에서 6개월 만에 29.4%로 낮아졌고 '습관이 돼서'라는 응답은 59.1%에서 61.7%로 더 늘어났다.
현재 흡연자의 59.3%는 '건강이 나빠져서'(55%), '백해무익'(9.3%),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8.6%) 등의 이유로 금연을 시도한 적이 있으며 여성(45.2%)이 남성(60.2%)보다 금연을 시도한 경험도 낮았다.
하지만 흡연자의 59.4%가 앞으로 담배를 끊겠다는 의향을 보였다. 여성(14.3%)이 남성(11.4%)보다 올해 안에 금연을 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비율이 더 높았다.
응답자들은 효과적인 금연정책으로 22.8%가 금연구역 확대를 꼽았고, 담배가격 인상이 18.7%, 흡연단속 및 처벌강화 18%로 나타났다. 특히 응답자들은 담배 가격이 8,510원으로 오르면 담배를 끊겠다고 답해, 금연 확대를 위해선 담뱃값 인상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보여줬다.
복지부 관계자는 "습관성 흡연이 늘어나고 있어 흡연을 질병으로 보고 니코틴 중독을 치료하는 개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가격과 비가격정책을 포함한 포괄적인 금연정책 추진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press@newdaily.co.kr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