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효종 "일제때 얼마나 비겁했는지 가리는 '징벌적 어젠다' 안돼"
바른사회시민회의 토론회 "편찬자들, 다른쪽 말도 들었어야"
임유진 기자
좌파 민간단체 민족문제연구소가 지난 11월 4389명의 이름이 수록된 '친일인명사전'을 발간한 가운데 '친일은 우리에게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오는 16일 토론회가 열린다.
바른사회시민회의가 주최하는 이날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설 박효종(사진) 서울대 교수는 15일 미리배포한 자료에서 "일제 위협 아래 한두개 특정한 행위를 했다고 해 반민족적 친일 행위로 단죄하는 것이 과연 공평한가"라고 반문한 뒤 "친일청산은 단순한 역사논쟁이나 기억논쟁이 돼서는 안된다"고 말한다.
△"친일명단 공개 오류는 일제피해자=민족가해자로 간주"
박 교수는 또 "친일명단 공개의 가장 치명적 오류는 '일제의 피해자'를 '민족의 가해자'로 간주한다는 점에 있다"며 "친일 인사와 친일 행위를 판정한 사람들이 재판 담당자라면 철칙으로 삼아야 할 '다른 편의 말을 들어라'는 재판의 고전적 준칙을 충실히 준수했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한다.
그는 친일인사명단 발표에 관한 정부 태도도 지적한다. 박 교수는 "정부는 이 일이 '자신의 일'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는 듯한데 친일명단을 발표한 두 개의 기관 중 하나는 민간기구지만 부분적으로 국고 지원을 받았고, 또 하나는 전액 국고로 충당한 국가기관"이라며 "실질적 차원에서도 정부가 이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했다. 이어 "이 문제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표명해라"고 요청한다.
박 교수는 "이번에 대규모 '친일파 명단'이 나왔으니, 이제는 '친북파 명단'이나 '친미파 명단'이 나올 차례인가"라며 "앞서간 세대를 뒤에 온 세대가 사정없이 단죄한 다음 남는 것은 무엇일까"라고 묻는다.
그는 이어 "강압적인 일제 통치하에서도 민족혼을 불어넣기 위해 삶의 각 영역에서 노심초사하던 사람들에게 한 두 개 행적이 있다고 해 민족의 자산에서 빼버리면 우리 공동체는 어떻게 되겠느냐"며 "이것은 '덧셈식'의 청산이 아니라 '뺄셈식'의 청산일 터"라고 말한다.
이날 토론회에는 윤창현 바른사회시민회의 사무총장, 박효종 서울대 사범대학 교수, 박지향 서울대 서양사학과 교수, 이재교 변호사/과거사위 위원, 홍진표 시대정신 이사가 참석한다.
◆다음은 일정
일 시 : 2009년 12월 6일(수), 14:30 |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