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조선 “반한활동 日 리쓰메이칸대 코리아연구센터 지원”
월간조선은 국제교류재단이 연구비를 후원한 일본 리쓰메이칸(立命館)대 코리아연구센터가 우리 정부의 지원금을 받아 북한의 연방제 통일을 옹호하는 조총련계에게 장학금을 줬다고 12월호에 보도했다. 코리아연구센터는 재일동포 유학생 간첩단 사건의 핵심인물이었던 서승(徐勝·65) 교수가 소장을 맡고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지난 2007년 서 교수의 주선으로 이 대학에서 명예 법학 박사 학위를 받은 바 있다.
1970년대 ‘재일동포 유학생 간첩단’ 사건 핵심으로 검거돼 1990년 석방된 서 교수는 일본으로 건너가 주한미군 철수, 북한의 연방제 통일안을 찬성하는 강연과 기고를 활발하게 했다. 이후 미 버클리대로 유학을 마치고 1998년 리쓰메이칸대 법대 교수로 부임했다. 리쓰메이칸대는 일본의 대표적 좌파 대학교로 알려져 있다.
서 교수는 2000년 남북공동성명이 발표되자 코리아연구센터의 전신인 ‘동북아시아 전문가 회의’를 발족시켰다. 이때부터 서 교수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햇볕정책을 적극 지지, 2005년 코리아연구센터를 세운 후에는 한국 정부와 기관들로부터 각종 지원금을 받기 시작했다고 월간조선은 보도했다.
코리아연구센터에 가장 많은 지원금을 준 곳은 외교통상부 산하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국제교류재단은 2006~2008년까지 3년간 약 11만~15만 달러를 코리아연구센터에 지원했다고 밝혔다.
지난 2008년 5월 리쓰메이칸대 코리아연구센터는 ‘남북화해와 협력 10년’이라는 국제심포지엄을 열었다. 심포지엄에는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과 장달중 서울대 정치학과 교수, 문정인 연세대 교수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이날 “이명박 정권은 오로지 정치적인 목적에서 햇볕정책을 폄하하고 있다”고 이명박 정부를 비판했다. 당시 심포지엄을 위해 국제교류재단은 500만 엔(약7000만원), 삼성은 100만 엔(약1400만원)을 지원했다.
월간조선은 “이 대학의 한국인 교수 A씨가 ‘대학 내부에서는 코리아연구센터가 한국 정부와 일본을 비난하기 위한 곳이라고 얘기한다’고 했다”며 “그는 ‘이곳은 한국 문화나 한일 역사를 연구하는 곳이 아니라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과 북한의 연방제 통일안을 옹호하는 선동대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