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성공위해 뛰어야할 판에 구경만" 사명감 부족 지적도
'노짱의 철학 전파' 몸 던진 노무현 청와대, 8명이나 당선
"이렇게 인물이 없나?"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선거 분위기가 서서히 고조되고 있지만, 이명박 청와대에서는 마땅히 도전의사를 밝히는 인사가 없다.
현재 청와대에서는 지역구도 타파를 주장하며 광주시장 출마 결심을 굳힌 정용화 연설기록비서관을 제외하면 행정관 한 두명 정도가 기초단체장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는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인사들은 여당 공천을 조건으로 내세우고 있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집권 중간기점을 도는 시기 이명박 정부의 강력한 국정운영 동력 마련을 위해서는 이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잘 아는 청와대 참모들의 출마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여권에서 제기된다. 정부 역점사업에 대한 야권의 대대적인 공세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핵심에 위치한 청와대 참모들이 제역할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국 곳곳에 펼쳐지고 있는 국가 핵심사업의 성공을 위해 뛰어야할 때인데 너무 조용하다" "나설 만한 사람들은 18대 총선에 다 출마한 것 아니냐"는 소리가 청와대 내부에서도 나온다.
2006년 치러진 제4회 동시지방선거에서 "노무현 정권의 국정철학 전파를 위해"라는 기치를 들고 다수의 청와대 비서관, 행정관들이 열린우리당 간판으로 뛰었던 상황과 전혀 다른 양상이다. 집권 4년차였던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지지도는 20~30%대를 나타내고 있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기록에 따르면 정경환 정책조정국장(서울 영등포), 김은호 사회정책수석실 행정관(부산 동래), 전재수 국정상황실 행정관(부산 북), 윤경태 시민사회수석실 행정관(부산 사상), 박영순 홍보수석실 행정관(대전 대덕), 정현태 국가안전보장회의 홍보담당관(경남 남해) 등 기초단체장에 도전한 인사만 수두룩하다. 이들은 전원 낙선했다.
출마의사를 밝혔지만 공천을 받지 못하거나 다른 사유로 출마하지 못한 인사, 그리고 출마인사 가운데서도 대통령직속위원회 소속 인사를 더하면 수는 더욱 늘어난다.
같은 해 실시된 7.26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에서는 조재희 국정과제비서관, 김성진 의전비서관실 행정관, 김만수 대변인 등 4개 선거구에서 무려 세명이 열린우리당 후보로 나섰다.
노무현 정권 집권 2년차이던 2004년 4.15 총선에는 청와대에서 14명이나 출사표를 던졌다. 문희상 대통령비서실장을 비롯한 출마희망자들은 2003년 하반기부터 2004년초까지 청와대를 떠나 지역에서 '노짱의 철학'을 설파했고, 8명이 금배지를 달았다. 이광재 문학진 서갑원 백원우 권선택 등 '노무현 386' 의원의 등장은 당시 이뤄졌다. 국내언론비서관이던 김현미 전 의원은 비례대표로 당선됐다.
여권 관계자는 "이명박 정부는 도전정신과 사명의식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청와대 직원들은 '몸사리기'에 급급한 모습으로 비쳐진다"며 비판했다. 그는 "지난 정권에서 당선가능성을 떠나 정권의 성공을 위해 나섰던 것과 비교하면 충성심이 의심갈 정도"라며 "4대강 살리기나 세종시 수정 문제 등 야권의 공세에 맞서 국민을 설득하고 이해를 구해야하는 상황임을 감안하면 문제가 아닐 수 없다"고 지적했다.
청와대도 이같은 상황이 답답하긴 마찬가지. 한 관계자는 "지방선거를 통해 국민앞에 국정운영 성과를 제대로 설명하고 평가받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는 공감하고 있지만 정작 나서겠다는 사람이 없다"면서 "그렇다고 등 떠밀어 내보낼 수도 없는 상황이 아니냐"고 말했다.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