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전문가들 “북, 도발 대가를 치르도록 해야”
일부는 “위험 감수하고라도 군사적 보복 필요”
온종림기자
미국 전문가들이 “천안함 침몰이 북한 소행으로 밝혀질 경우 군사적 보복은 아니더라도 북한이 자신의 도발 행위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이 30일 전했다.
29일(현지 시간) 미국 한미경제연구소(KEI)가 개최한 한국의 천안함 침몰 관련 토론회에 참석한 전 미 국방부 한국과장 마이클 피네건(Michael Finnegan) 아시아연구소(NBR) 선임연구원은 “한미 두 나라는 한반도 주변에서의 합동 군사훈련을 강화해 한국 국민을 안심시킬 수 있으며, 천안함 사건을 계기로 한국은 새로운 미사일을 배치하거나 미사일 방어망 체제를 구축함으로써 북한에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에 대한 직접적인 보복 군사공격은 아닐지라도 북한이 저지른 도발행위에는 군사적 형태의 대응이 따른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는 주장이다.
피네건 연구원은 또 “북한에 대한 라디오 방송 확대나 전단지 살포 등 대북 심리전을 확대하는 것도 북한이 더 이상 도발행위에 나서는 걸 용납할 수 없다는 의사를 전달하기 위한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금까지 한미 양국은 철저하고 객관적인 원인 조사를 강조하면서 조심스럽게 이 문제를 다루고 있지만 6월 꽃게잡이 철이 되면 서해에서 남북한 간 우발적인 충돌 가능성이 높아지고 남북한 해군 사이 과거에 비해 더 과격한 충돌로 발전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함께 토론회에 나온 잭 프리처드 한미경제연구소 소장과 글렌 케슬러 워싱턴포스트지 기자도 “미국은 과거 여러 차례 북한에 넘어서는 안 되는 금지선(red line)을 제시했지만 북한은 이를 무시하고 플루토늄을 추출하기 위한 폐연료봉 재처리에 나섰고 또 시리아에 대해서는 핵 확산 활동도 서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천안함 침몰 사건과 관련해서 북한이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반드시 치르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토론회 일부 참석자들은 “이번 기회에 위험을 감수하고라도 북한에 대한 군사적 보복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