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이전에 두세번바꾼건 정치적…내가 손핸데 정치논리겠나"
"속상한 충청민들 반발 이해…감성적으로 대해서는 안돼"
이명박 대통령은 7일 세종시 수정 문제와 관련, "이제까지 (세종시 계획이) 두세 차례 바뀐 과정은 정치적이었지만 지금부터 추진하려는 세종시 계획은 국가백년대계를 위한 것이고 충청도민에 도움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지역언론 편집·보도국장을 청와대 영빈관에 초청해 가진 오찬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세종시 수정 추진이 '정치논리'와 무관함을 거듭 확인하며 진정성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실질적 국가발전과 지역발전 관점에서 볼 뿐 정치적 논리는 없다. 왜냐하면 내가 손해이기 때문"이라며 "내게 어떤 정치적 이득이 있다면 정치적 계산이랄 수 있지만 현재는 정치적으로 손해를 보면서 이 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어물쩍 넘어가면 아무 손해볼 것이 없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많은 반대에 부딪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선거 앞두고 정치권이 이랬다 저랬다…대안 나올 때까지 정치권도 기다려야"
특히 이 대통령은 "국가백년대계에 관련된 것은 감성적으로 대해서는 안된다"고 역설했다. 이 대통령은 "이런 문제야말로 우리 모두 냉철하게 한걸음 물러서서 무엇이 국가에 도움이 될 것인가를 생각해야 한다"면서 "지역에 따라서 언론이 선정적, 감성적으로 보도하는 것을 보면서 걱정스럽게 생각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지역 사정에 따라 어쩔 수 없이 그렇게 (보도)할 수 있지만 언론 본연의 자세는 국가 장래를 두고 무엇이 도움될 것인가 하는 것을 선도해야 할 책임도 있는 것"이라고 당부했다.
충청지역 반발에 대해 이 대통령은 "충청도민 입장에서 보면 이해를 한다. 감성적으로 이야기할 만한 이유가 있을 것 같다"면서 "충청도민이 행정수도를 이전해 달라고 부탁한 일이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어떻게 보면 충청도민은 정치권이 이랬다 저랬다 한 결과에 감성적으로 생각하면 속이 매우 상할 것"이라며 "나라도 우선 논리적 판단은 이후고 혼란스럽게 만든 데 대해 크게 반발이 있을 것으로 이해한다"고 공감했다. 이 대통령은 "정치권이 선거를 앞두고 수도 이전한다고 했다. 헌법에 위반된다니까 행정수도를 분할해서 나눠서 한다고 결정을 해버렸다. 그것도 (충청도민이 아닌) 정치권이 그렇게 결정을 했다"고 지적했다.
"지난 정권말기에 혁신·기업도시 한꺼번에 결정…지역발전계획 임기 중 시작할 것"
이 대통령은 "나는 정치적으로 굉장히 마이너스면서 국가를 위해서 한 번 하는 것이니까 아마 충청도민이 이해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기대했다. 이 대통령은 "우선 정부가 확고한 방안을 내놓으면 그걸 판단할 수 있는 기회가 올 것"이라며 "대안이 나올 때까지는 정치권도 조금 기다리면 좋겠다"고 말했다.
"4대강이 아니라 5대강…정치적 계산으로 반대하겠지만 국가백년대계 생각해야"
또 4대강 살리기 사업과 관련해 이 대통령은 "사실은 4대강이 아니고 5대강이다. 섬진강에 추가로 예산이 들어간다"면서 "정치적 계산 때문에 그렇게 (반대)하겠지만 국정 하나하나를 국민 입장에서 국가 백년대계를 생각해서 하나씩 기초를 잡아가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그렇게 되면 다음 정권은 탄탄대로에서 우리나라가 승승장구 발전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17일부터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리는 유엔기후변화 정상회의 참석에 언급, "아마 완전 합의를 못보겠지만 상당한 부분에 의견이 제시되고 또 다소간에 한국 의견도 반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대통령은 "녹색성장이라는 새로운 국제적 용어가 한국에서 만들어졌다"면서 "세계 모든 나라가 경제를 살리면서도 기후변화에 대비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날 행사에는 37개 지역 신문사, 9개 지역민방사의 편집·보도국장이 참석했으며 청와대에서는 정정길 대통령실장을 비롯해 박재완 국정기획수석, 박형준 정무수석, 권재진 민정수석, 이동관 홍보수석, 김두우 메시지기획관 등이 자리했다.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