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1경비함 귀환…“긴박한 상황 계속됐다”
‘함구령’의혹 증폭…“승조원, 함장 격리됐다”
최유경 기자
천안함 승조원 56명을 구조한 인천해양경찰서 501 경비함이 정비를 위해 30일 귀환했다.
고영재(55) 함장은 “1차 구조를 시작한 지 30분 만에 함수 부분에 사람이 서 있을 수 없을 정도로 배가 가라앉았을 만큼 상황이 긴박했다”고 전했다.
고 함장과 유종철 부함장, 김남오 갑찬장은 인천해경 2층 대회의실에서 오전 1시경 기자회견을 가졌다. 고 함장은 “천안함이 침수되고 반 이상 가라앉았은 상황에서도 군인이라 승조원들이 침착하게 질서를 지켰던 것 같다”고 전했다.
천안함 승조원들의 구조 당시 모습은 “몸에 부목을 대거나 붕대를 감고 있는 승조원은 보지 못했고 우리 501함으로 와 붕대, 소독 등의 치료를 받았다”며 “물에 젖은 승조원이나 구조를 요청하고 천안함 밖으로 뛰어 내리는 승조원도 없었다”고 말했다.
또한 해군은 뭐하고 있었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해군 고속정 4척이 사고 해역에 먼저 도착해 서치라이트를 비추며 승조원들이 구명벌 등의 장비를 들고 갑판에 나와 접근을 시도하려고 했으나 파도가 3m가량 높게 일고 있었고 천안함이 90도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여서 계류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라고 설명했다.
고 함장은 일부 언론이 천안함 함장이 생존자가 없다고 발언, 구조활동을 중단했다고 한데 대해 “천안함 함장은 더 이상 생존자가 없다는 말을 하지 않았으며, 가장 마지막으로 구조됐다. 해군과 함께 다음날 오전 2시 30분까지 수색을 계속했다”고 밝혔다.
또한 고 함장은 사고 해역에서 한미독수리훈련이 진행 중이라는 사실을 전달받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들은 바 없다”고 답했다.
천안함 최원일 함장이 구조된 후 501경비함 내에서 생존 장병 전원을 불러, 사고 당시 상황에 대해 함구령을 내렸다는 의혹에 대해 “승조원들은 식당에, 함장과 부장장교는 사관실로 격리했기 때문에 서로 만난 적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해군이 26일 구조과정에서 해경에게 연락해 “생존 장병들을 격리하고 질문을 삼가 달라”는 부탁을 한 것으로 일부 언론이 보도, ‘함구령’에 대한 의혹은 증폭되고 있다.
해군이 장병들의 ‘입단속’에 나섰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생존자들을 외부의 접촉과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국군수도병원에 입원시킨 것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현재 해군은 생존자의 심리치료 등을 이유로 58명 중 52명을 국군수도병원에 입원시킨 상태다.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