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 안된 보도 앞세워 일제히 지역감정 자극
세종시-선거 의식, 시나리오 따른 표심 공세
온종림기자
일부 언론과 민주당이 일제히 지역감정을 부추기며 대정부 공세에 나섰다. 빌미는 이동관 청와대 홍보수석의 ”TK(대구 경북) ×들“이라는 발언이다. 이 연합전선에 친박 진영까지 가세했다.
파문이 확산되자 청와대는 3일, 자신이 “TK(대구·경북) ×들, 정말 문제 많다”고 막말을 했다고 보도한 경북일보를 언론중재위에 제소했다.

문제의 경북일보 보도 ⓒ 자료사진
함께 “별도로 해당 언론사 간부와 기자를 허위사실 유포에 따른 명예훼손 혐의로 형사고소하고, 5억원의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내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수석은 언론중재위에 제출한 언론조정신청서에서 “경북일보 기자는 당일 현장에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실 관계를 확인하려는 노력도 하지 않은 채 제3자의 부정확한 전언을 그대로 이어받아 기사화했다”며 “극도로 민감할 수 있는 내용을 보도하면서 최소한의 확인절차도 거치지 않은 것은 언론의 정도나 본령을 한참 벗어난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 수석은 또 “이 같은 허위 기사로 명예에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됐다”고 덧붙였다.
경북일보는 지난 2일 ‘이동관 막장발언 파문 확산’ 기사를 통해 이동관 수석이 “이 수석은 경북일보에 정정보도를 청구하지 않고도 청구한 것처럼 해명했다” 등 왜곡된 보도가 아니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같은 일련의 사태에 일부 언론과 야당들은 발빠르게 여론몰이에 나섰다.
발언의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지방선거 전초전에서 기선을 제압할 수 있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경상도의 지역감정을 ‘막말’이란 표현으로 충청도 등에 대해선 ‘차별’을 무기로 민심 자극에 나선 모습이다.
결국 이 수석의 발언 여부가 사태의 핵심이다. 이에 대해 제3자라고 할 수 있는 한 일간지는 “비슷한 말이 있었다. 술자리에서 농담 비슷한 조로 했다. 정확하게 기억은 안 나지만 언사가 과격하긴 했다. × 발언은 기억나지 않는다”라고 현장에 있었던 기자들의 설명을 보도했다.
결국 객관적 시각에서 비슷한 말이 있었지만 술자리의 농담조였고 × 발언은 실체가 아니라는 보도이다.
이 같은 흐름을 보수진영은 ‘좌파언론 및 야당의 지방선거 전략’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한 네티즌은 다음 아고라에 올린 글에서 “이동관 수석이 막말을 하고 그 말을 기사로 옮겨도 된다고 했다는데 만일 경북일보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이 수석은 ‘정신 나간 사람’이 분명할 것”이라고 경북일보를 비난했다.
그는 “이명박 정부를 흠집 내기 위해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던 좌파 언론들과 일부 정치인들이 봉이라도 잡은 듯 이 보도 내용을 인용하며 정부를 싸잡아 때리기에 여념이 없다"고 말하고 “이 수석이 갑자기 인생에 회의를 느껴 이명박 정부와 함께 자폭을 결심했다면 모를 일일까. 상식적으로 생각을 할 때, 경북일보 기사는 납득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만일 경북일보 보도가 사실이라면 그 자리에 있던 다른 언론사 기자들은 그 좋은 특종을 마다하고 왜 입을 다물고 있었겠는가”라고 되묻기도 했다.
다른 네티즌은 “현장의 기자들은 기사를 안 썼는데 현장에 없던 기자가 기사를 쓴 것도 이해가 가지 않는다”라며 “이 기사를 확인도 안하고 받아쓰는 일부 언론들은 어떤 의도를 가지고 있는지 저의가 궁금하다”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또 다른 네티즌은 “야당은 물론이고 한나라당 내에서도 진위도 파악되지 않은 기사를 근거로 청와대에 대한 비난 발언을 일삼고 있다”라며 “이런 식의 삼류 저질문화를 언제까지 우리 사회가 용인해야 할지 한탄스럽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주천 원광대 교수는 “좌파진영의 치밀한 시나리오에 따른 공세에 정부며 청와대가 말려든 것 같다”며 “확인이 안 된 사실로 국민감정을 부추기는 것이 저들의 장기이자 전술”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광우병 촛불에서 보듯이 이번엔 지역감정으로 세종시며 지방선거에서 이 수석을 희생양으로 삼으려는 의도가 분명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