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냉전 우려에는 "중국도 대결 의사 없다"
"이제 (이명박 대통령의) 임기도 많이 안남았는데 (대북정책을) 유화적으로 틀어야 하는 거 아니냐"는 질문을 받자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곧바로 "임기에 구애받지 않는다"고 받았다.
1일 일부 기자들과 만난 이 고위 관계자는 "그렇게 생각하는 분도 계시지만 우리가 임기 2년반 남았다고 해서 (대북정책을 유화적으로 틀면) 북한이 아쉬울 게 없다. (북한에선) '아쉬워 그러는 구나' 생각할 것"이라며 "협상은 서로가 필요해야 할 수 있다. 북한이 어느 순간 바뀐 게 한 두번이 아니니까 우리가 임기만 갖고 하는 건 어렵다"고 말했다.
이런 설명은 이 대통령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방중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이 자칫 정부의 대북정책 변화로 해석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무엇보다 청와대가 우려하는 것은 최근 동북아 정세가 한·미 대 북·중의 신냉전 구도로 가는 것 아니냐는 일부의 시각이다. 중국도 우리의 이런 일부 시각에 크게 신경을 쓰고 있다는 게 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 관계자도 "언론에서 한·미와 북·중이 대결구도로 간다고 하는데 대결은 양쪽이 대결 의사가 있을 때 그런 말을 쓸 수 있지만 중국은 그럴 의사가 없다. (한반도) 긴장을 완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고 중국은 그런 의지를 기회가 있을 때 마다 전달해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을 만난 횟수로 보면 15번, 원자바오(溫家寶) 총리도 9번을 만났다. 김 위원장은 후 주석과 4번 만났다"며 "같이 보낸 시간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한국과 중국 정상이) 자주 볼 수 있다는 것을 보면 대결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국도 우리 언론 보도에 굉장히 신경을 쓰고 당부를 하더라"며 "(중국이 우리 언론에 불편한 기색을 정부에) 전달한 것은 아니지만 섭섭한 감정에 대해선 표출을 하고 우리도 우려를 한다. 그런 문제로 (양국이) 다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 위원장의 지난 방중에 3남 김정은의 동행 여부에 대해선 "(동행) 정황도 있었고, 제보도 있었지만 실제 봤다는 얘기는 못들어 확인 중"이라면서도 "확인이 될 지 모르겠다. 워낙 비밀리에 움직이고 이번에는 5월 방중 때 보다 보완이 더 강화된 것 같다"고 말했다.
중국 측에서 김정은 동행 여부에 대해서 알려주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이 관계자는 "북한과의 약속 때문에 알려주지 않는 것 같다. 공식명단에는 없다는 (중국의) 말이 재미있지 않느냐"며 웃었다. 그러면서 "중국이 내정문제인 만큼 북한 후계체제에 대해 명시적 언급은 하지 않았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press@newdaily.co.kr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