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년간 평균 26% 올라…‘제조사 보조금’으로 활용
최유경기자
100만원에 육박하는 휴대 전화가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 2년간 휴대폰 단말기 출고가가 평균 26% 상승한 것으로 알려졌다. 높아진 출고가는 ‘제조사 보조금’으로 활용돼 제조사 보조금 및 통신사 보조금에 대해 종합적이고 실효성 있는 규제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보조금’이 시장에 등장한 이후, 이통 3사를 통해 출시된 104종의 휴대폰 단말기의 평균 출고가는 51만5429원으로 집계됐다. 이듬해인 2009년에는 96종의 휴대폰이 평균출고가 64만865원으로 나와 1년 사이 약 13만원 증가했다. 올해는 9월까지 출시된 단말기는 총 75종. 평균가격은 64만1497원으로 지난 2년간 출고가가 평균 26%(13만6000원)이나 올랐다.

특히 단가가 높은 스마트폰 열풍이 불기 이전에는 휴대폰 단말기 간 성능의 차이가 적어 제조 원가가 크게 상승하지 않았으나 기기값은 수직으로 상승했다. 또 30~40만원대의 저가폰이 사라지면서 휴대폰 출고가는 크게 올랐다. 2008년부터 30~40만원대 저렴한 일반폰의 출시대수가 크게 줄었다. 2008년 이통 3사의 저가폰은 전체의 전체 절반을 넘는 56종이나 됐으나 올해는 17% 수준인 13종에 머물렀다.
업계 관계자들은 휴대폰 출고가 상승은 휴대폰 개통시 고객에게 제조사들이 보조금 형태로 지급하는 ‘제조사 장려금’에 쓰인 것으로 보고 있다.
이통 3사간 보조금 경쟁이 과열되면서 출고가를 높여 남은 이익으로 ‘제조사 장려금’의 주요 재원으로 활용했다는 것. 이와 더불어 제조사들이 단말기 별로 제조사 보조금을 차등 지급하면서 이통사와 제조사간에 갈등도 야기됐다는 비판도 잇따랐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단말기 출고가가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이 높아진 것이 사실이다. 제조사들은 차액 이익 가운데 상당부분을 제조사 장려금으로 활용한 것으로 안다”면서 “특정 이통사나 단말기에만 차등 지급해 이통사간 갈등이 벌어지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한 제조사 관계자는 “2008년부터 풀터치폰들이 대거 쏟아지면서 생산 단가가 올라갈 수밖에 없었던 것”이라며 “제조사 장려금 마련을 위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