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으로 연꽃단지 조성 예정지
“북한강 상류 백제유적 첫 확인” 사업 계획 변경
김신기기자
4대강살리기 북한강사업구간인 강원도 화천군 하남면 원천리 지역에서 발견된 백제마을이 유적공원으로 보존된다.
4대강 사업 구간인 강원도 화천군 하남면 원천리 북한강 상류지역은 당초 연꽃단지로 조성될 예정이었다. 그

러나 60%까지 끝난 문화재 발굴조사에서 3~4세기 무렵의 대규모 백제 마을 유적이 발견되면서 사업계획이 변경될 전망이다.
이 지역은 은 지난해 문화재 지표조사결과에 따라 시굴조사를 거쳐 지난 5월부터는 문화재 정밀발굴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정밀발굴조사 과정에서 청동기시대 집터(23곳), 석관묘(1곳)와 함께 한성백제권 문화재가 대량(집터 120곳 등 유구 265기, 흑색마연토기, 마구류 등 다수 유물) 출토됐다.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예맥문화재연구원(원장 정연우)은 “지난 5월부터 발굴조사를 통해 청동기시대 주거지 23곳과 철기~삼국시대(한성 백제) 주거지 120기 등 265기의 유구(遺構)를 확인했으며, 이 중 주를 이루는 것은 한성 백제기의 마을 유적”이라고 밝혔다.
한성 백제기의 대규모 마을 유적이 북한강 상류지역에서 확인된 것은 처음이며, 이는 백제가 3세기 무렵에 이미 지금의 화천 일대까지 진출

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학계는 보고 있다.
주거지는 '철(凸)' 자와 '여(呂)' 자를 닮은 형태가 대부분으로, 일부는 촘촘히 벽체를 돌아가며 박은 나무와 판재, 지붕 서까래 등이 불에 탄 채 발견됐다.
또 유구에서는 토기류·금속류·유리제품·곡물·무기류·마구(馬具)류가 다수 출토됐다. 연구원은 특히 “마구류와 갑옷류가 출토된 것으로 미루어 이곳이 대외 정복활동도 수행했던 복합유적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원주지방국토관리청 이수빈 북한강살리기 사업팀장은 “사업지구를 당초 연꽃단지로 개발할 예정이었으나 문화재청과 긴밀히 협조하여 중요 문화재가 출토된 본 지역(17,500㎡)을 보존하기 위한 사업계획 변경 등의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현재 이 공구의 사업대상 지역 전체면적(117,819㎡)의 약 15%를 문화재 보호시설(유적공원 등)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