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보상금엔 큰 불만없어"다른데선 칼부림까지 벌이는데"
"국책사업에 원주민 소득사업은 처음…타 지자체도 배우러와"
정부의 세종시 수정 추진 움직임에 현지 원주민들은 강한 반발을 하고 있지만 보상금 문제에 대해선 큰 불만을 표출하지 않는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관계자는 "다른 데서는 토지 보상금 문제를 두고 칼부림까지 벌어지는데 세종시는 큰 잡음없이 마무리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른 지자체 공무원들이 많이 배워간다"고도 했다.
![]() | |
|
세종시 원안 추진을 주장하는 원주민들이 모여 만든 주민생계조합의 홍석하 차장도 "토지보상 협의율도 높았고 좋은 선례를 남겼다"고 평했다. 특히 원주민이 건설청으로부터 직접 수주를 받아 철거를 한 것은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홍 차장 역시 이 때문에 "다른 지자체 공무원들이 이런 부분을 많이 배워간다"고 했다. 대부분 혁신도시지역에서 관심을 갖고 있다고 한다.
세종시가 보상금 문제에 큰 잡음이 없던 것은 정부의 보상액이 원주민 기대를 상당 부분 충족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건설청과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철저한 사전준비 덕이란 게 원주민과 건설청의 공통된 목소리다. 청 관계자는 "행정도시건설 보상은 2005년 12월부터 착수 했지만 법 통과가 된 3월부터 지역주민과 함께 보상추진협의회를 구성해 주민과 대화를 계속했다"고 말했다.
청 관계자는 "원주민을 위해 직업전환훈련을 처음 시켰고, 주민생계조합을 만들어 원주민 재정착을 위한 소득창출사업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원주민의 주요생계수단이 농업인) 주민들이 별다른 기능이 업어 지상물 철거와 야생수목 제거, 지하수 굴착매립 등 큰 기술없이도 조금만 배우면 할 수 있는 일을 주로 했다"며 "다른 지자체는 발주에 의해 하지만 우리는 지역주민별로 구성된 조합에 일을 줬다"고 설명했다. 그는 "(타 지역에서도) 이런 부분에 관심을 갖는다"고 했다. 이어 "지금까지 다른 지자체에서도 보상업무를 해 봤는데 국책사업을 하면서 (원주민의 재정착을 위한 소득창출사업을 한 것은) 처음 해본 시도"라고 말했다.
세종시 주변에서 공인중개업을 하는 신모씨(45·남)도 "보상은 꽤 잘됐다. 물론 토지를 얼마나 갖고 있느냐에 따라 보상액은 크게 차이가 나지만 평당 보상액은 잘 받았다"고 했다. 토지수용에 들어간 비용은 4조2000억원이다.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